본문 바로가기
산업 및 기업정리/3_시클리컬 에너지

산업정리 - ESS 산업

by 마리우온 2023. 3. 26.
반응형

ESS 산업.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의 덕 커브를 보완하고자 하는 목적이 제일 강함. 현실적으로 ESS의 확대 혹은 가스터빈 발전소의 확대가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대비할 수 있는 주된 관리법으로 주목받고 있음

배터리 및 주요 원자재 가격 하락시, 수혜로 예상됨. 아이디어는 D는 일정한데, 원재료 가격 하락에 따른 스프레드 확대. 다만, 아직까지 대용량의 ESS는 아직 제대로 된 양산경험이 많이 없다 보니, 해당 부분에서 문제가 많이 생길 수 있다.

ESS 관련기업은 미국의 NEXT ERA , FLUENCE 정도가 있다. 


ESS의 개념 및 주요 기능별 구분

ESS (Energy Storage System) 즉, 에너지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를 말한다. 개념상 배터리나 양수 발전 모두 해당되는데, 에너지를 저장하는 시스템을 뜻한다. 가장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은 현재 상용화되고 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있는 배터리이다. 

설치 형태별로 FTM (Front of the Market ) , BTM (Behind the Market) 으로 분류된다. 신재생 발전 자산 즉, 태양광 패널이나 풍력과 가까우면, FTM 직접 사용하는 곳과 가까우면 BTM으로 분류한다고 보면 된다. 

 

 

ESS의 필요성 및 용도 

 

전력망에서 생산된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 후, 피크 수요에 방출하는 형태. 보통 초저녁이 전기차 등 충전 수요로 인해서 전기 수요가 몰리고, 전기 공급이 적어지는 시기다. (신재생 에너지의 경우,)  

리튬이온이 메인으로 사용되나, 가격과 신뢰성 측면에서 LFP 배터리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중장기적으로는 수소 에너지 (저장 장치로써)로의 전환 가능성이 있다. 

 

 

> ESS는 다양한 목적이 있을 수 있으나, 가장 큰 목표는 덕커브라고 보이는 피크 수요에 의한 전력 대안을 방지하기 위함이 가장크다.

 

ESS의 설치 형태 및 용량별 기술 비교 

 

> 전기차와 달리, 충전기에서는 c-RATE가 그렇게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가격과 화재로 인한 위험으로 인해 LFP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ESS의 경우는 LFP가 대세가 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 

 

> 주요 원재료인 리튬 가격 하락시, 수혜가 가능하다. 

 

> 원인은 모르겠으나, 요새 리튬 가격이 워낙 가파르게 빠지다 보니 (아마, 전기차 수요 둔화. 그리고 주요 업체인 catl의 반값 배터리 선언 ? 으로 인한 것 같다 

 

무튼, 주요 원재료인 리튬 가격이 빠진다는 측면에서 ess 업체에게 있어서는 호재일 수 있다.

 

좀 더 다르게 분류해보면, 산업용과 가정용으로도 나누리 수 있는데, 현재 ess에도 보조금이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많이 지급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 

 

* 한국은 주요 사업자들이 차량용을 위주로 해서 그런지, 그렇게 주목을 많이 못 받고 있는 산업인데, 어찌되었든 전기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향후 성장의 방향성은 명확한 편에 속하는 산업이니 만큼, 관련 기업들도 시일을 두고 분석을 해봐야 겠다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