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5G 인프라 투자를 정해진 수순으로 보고 있습니다. 향후, 4차산업혁명 그 중에서도 가장 폭발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A.I의 탄생과 대중화를 위해서 필요한 인프라가 1) 로직 및 메모리 반도체의 발전 2) 무선통신 속도의 발전이라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투자 사이클로 보면, 이들과 관련된 하드웨어를 제조하는 기업들이 큰 폭의 상승을 보일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플랫폼을 만들고 그 위에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업체들의 계속되는 상승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5G 중에서 중계기 사업자와 관련한 기술 및 산업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5G 네트워크의 사이클은 아래 표와 같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됩니다. 투자 초기에는 계측 장비와 기지국으로 불리는 매크로셀 들이 큰 성장을 나타내지만, 이후에는 지역적으로 작은 공간들까지 커버를 해줄 수 있는 스몰셀들과 중계기 사업자들의 성장이 나타날 것입니다. 현재는 코로나 국면으로 중계기 분야의 투자가 뜸해지거나 늦춰지고는 있지만 5G의 고주파대역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4G때보다 4 ~ 5배 더 많은 중계기가 필요한 만큼 종국에는 중계기 업체들의 사이클도 나타 것으로 기대됩니다.
통신망은 커버리지와 용량에 상호간의 손실 관계에 있습니다. 커버리지가 넓어지면 전달할 수 있는 용량이 적어지고 용량이 커지면 커버리지가 짧아지는 속성이 있지요. 5G는 고주파대역을 사용함에 따라서 커버리지 길이가 짧아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서 기지국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죠. 하지만, 기지국의 숫자만으로 커버리지 영역을 커버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 때 사용되는 것이 바로 스몰셀이라는 작은 규모의 기지국과 기지국의 통신망을 빌딩 안 등으로 연결해주는 인빌딩 중계기 이지요.
5G의 구조는 코어망 -> DU를 연결해주는 백홀 그리고 DU와 스몰셀을 연결해주는 프론트홀 그리고 그리고 이 선을 연결해서 연장해주는 중계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지국 투자와 중계기 투자는 동반해서 나타날 것입니다.
물론 중계기 산업은 거의 완전 경쟁에 가깔울 정도로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긴 하지만, 한 번쯤 리서치 해볼만한 분야임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현재 5G 사업자 중 거의 유일하게 밸류에이션이 저렴한 구간으로 평가됩니다.
참고자료로 유튜브에서 발로 뛰면서 중계기 사업자를 파악하면서 리서치 하는 영상이 있어서 공유드립니다 ~ (+ 각 통신사 별 커버리지 망 구축 현황 데이터)
SKT 5G 커버리지 맵 URL : https://sktcoverage.com/map?TYPE=FIVEG
커버리지맵 < SKT 커버리지맵
SK텔레콤은 국내에서 가장 넓고 가장 빠른 4.5G LTE-A Pro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sktcoverage.com
KT 5G 커버리지 망 URL : https://coverage.kt.com/web/popup5gInfo
KT5G커버리지현황
* 무선국 : 동일 장소에 설치된 여러 개 장비를 한 개 무선국으로 합쳐서 관리 인빌딩 커버리지 현황 - 7월4주 여의도글래드호텔 등 인빌딩 기지국 개통 완료 - KTX 서울역, 신촌 현대백화점 외 누��
coverage.kt.com
LGU+ 5G 커버리지 망 URL : http://www.uplus.co.kr/css/iner/RetrieveCoverMapNoneSSL.hpi
개인 | LG U+
LG유플러스는 일상을 바꾸는 U+5G와 모바일, 인터넷, IPTV, IoT, 인공지능, AI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만나보세요.
www.uplu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