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린다 뭐다 하지만, 수도권의 경우는 전반적으로 낮은 상승률 지속 중. 즉, 내리지 않고 조금씩 계속 오르는 중
- 다만, 하급지는 현재 하락하는 조금씩 하락하는 양상이 나타나기 시작함.
- 재개발 기대감 높은 지역 위주로 상승 기록. 서울 외곽지역은 하락 기록
- 부동산 문의는 매도자 우위 시장 지속 중
- 수도권 이외에 강원, 전북, 광주 ,경남 등 지역의 매매가 상승 중 .
- 서울도 상승폭 둔화이긴 하지만, 재개발 기대감 높은 지역 위주로 상승 기록.
- 서울 내 상승 우위 지역은 용산(0.27%), 금천(0.16%) ,양천 (0.15%), 종로 (0.14%), 강남 (0.09%) 순
- 다만, 성북구 (-0.05%), 노원구 (-0.04%) , 강동구(-0.01%) 하락 기록.
- 경기의 경우는 이천의 폭등 지속. 평택도 따라 오르는 중.
- 이천(0.31%), 용인 처인구 (0.14%), 안성(0.14%), 평택 (0.13%), 부천(0.13%) 등 상승
- 화성 (-0.11%), 수원 권선구 (-0.11%), 용인 수지구 (-0.1%) , 등 하락 기록
- 매매가와 마찬가지로 전세가도 낮은 상승률 지속 중. 영등포는 무슨 일 있나 싶음 ?
- 영등포 (0.19%) ,서초 (0.16%) , 성동 (0.15%0, 강북 (0.15%) , 동작 (0.15%) 상승
- 매매가 보다 전세가가 더 미춌네..
- 이천 (0.59%) 안성(0.57%) , 용인 처인구 (0.23%) , 파주 (0.2%) , 고양 일산서구 (0.19%) 순으로 상승
- 서울보다는 경기도가 매매가도 그렇고, 전세가도 좀 많이 오르고 있다...
- 서울 60.5 -> 57.2기록으로 낮은 수준 유지 중.
- 광주는 갑자기 매수 우위 지수 똑상 중..
- 전국 전반적으로 100미만의 매수우위지수로 '매도자 많음' 상황 지속 중.
매매가 - 지역별
- 용산은 대통령 짐무실 이전, 용산공원 조성, 동부 이촌동 리모델링 사업 추진, 청파1구역 주택정비형재개발구역 지정 각종 대형 호재로 매매가 상승 (0.27%). 다만, 전반적인 거래량은 매우 저조한 상황
- 한남동과 서빙고동 대형평형의 시세가 상승 함
- 강남구 (0.09%) . 다주택자 한시적 양도세 중과 완화 시행으로 매도매물 조금씩 나오나, 매도자와 매수자의 호가 차이가 좁혀지지 않음에 따라서 거래가 되고 있지 않음
전세가 - 지역별
- 영등포는 여의도 직장인 수요로 전세가 상승 중.
- 이천은 대형 물류센터등 비치됨에 따라 상승
- 대구 서구는 입주물량 많음에 따라 전세가 하락 -0.44% (무섭다 무서워 ㅎㄸ...)
- 월간으로 나오는 지수가 궁금한데, 전세 지수가 해결되기 전까지 과연 집값이 내릴까 ? 오르기도 어렵지만, 내리기도 어렵지 않을까?
- 다만, 사이클적으로 보았을 때는 과거 하락 하기 전의 보합세와 유사한 흐름 지속 중... 매도자와 매수자의 호가 차이가 좁혀지지 않고 줄다리기 중... but,.. 여기서 금리 폭등이면, 그냥 굿바이 각이긴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