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투자를 위한 재무회계 9강 지분법기준 연결재무제표

본문

728x90


 

SKT는 최근 지배구조의 변경에 대한 이슈가 있습니다. 개편되는 내역은 SK하이닉스입니다. 지배구조의 개편과 상관없이 지분법기준 연결재무제표를 공부하신다고 생각하고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결론만 먼저 말씀드리자면, 관계회사의 경우에는 법적으로 연결해서 작성하게 되어있어서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해야 하구요. 관련회사의 경우에는 지분기준으로 관련회사의 당기순이익의 지분법만큼의 이익을 모회사에 반영해서 작성하도록 되어있습니다.

 

-제가 오해한 부분이 있어서 수정하게 되었습니다. - 

 


 

재미로 5년치 SKTSK하이닉스의 주가는 SKTSK하이닉스의 상승이후, 후행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데요. 지분법기준으로 SKT 당기순이익의 절반무렵이 SK하이닉스에서 비롯되니 어느정도 연관성이 있어보입니다.

 

지배,종속회사  : 지배,종속회사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기업공시작성기준)

1) 직전년도 자산총액이 지배회사 자산총액의 10% 이상인 종속회사

2) 직전년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인 종속회사

3) 기타 지배회사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판단하는 종속회사

 

, 실질적으로 모회사가 지배를 하고 있으면서 영업에 연관성이 크거나 자산의 규모가 큰 경우엔 사업보고서에 반드시 기재하도록 되어있는데요. SKT의 경우 사업보고서를 보시면, 관련 종속회사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들 회사의 영업이익은 연결재무제표에 반영되게 되는데요. SKT의 경우, 소셜커머스 부분의 지속적인 영업이익적자가 기업의 총 당기순이익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관계회사 : 관계회사의 회계학적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회사간의 발행주식총수의 20%이상의 주식을 소유하거나 출자총액의 20%이상을 출자하고 있는 관계

2) 둘이상의 회사가 동일인에 의하여 각 발행주식 총수의 30%이상 또는 출자 총액의 30%이상의 소유관계

3) 이 이외의 실질적으로 경영권을 행사하고 있는 관계

 

, 관계회사는 종속회사와 달리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지 않으며 공시에는 계열회사간의 관계로서 작성합니다.

 

아래는 참고 동영상이니, 한 번 시청해보시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아요 ^^~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종속회사는 모회사의 이익과 즉각 연결되므로 종속회사의 영업이익은 모회사 투자 시 반드시 알아야 할 사안입니다. 관계회사역시 관계회사의 이익이 지분법만큼 모회사에 반영되므로 관계회사 역시 투자전에 조사가 되어있어야 겠죠?

오늘까지 이야기해서 기본적인 투자를 위한 회계지식은 모두 다룬 것 같습니다. 다음에는 제가 이전에 투자했던 삼정펄프를 바탕으로 재무제표적인 투자 분석을 했던 예시를 이야기하고 또 일전에 이야기 했던 상세한 예상재무제표작성법을 쓰면서 투자를 위한 재무회계 시리즈를 마무리할까 합니다. , 올해의 추천도서에 투자를 위한 재무제표도서 목록들도 업로드 할 테니 바텀-업 가치투자를 하시고자 하는 분들이라면,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러면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