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강 석유기업, SINOPEC(China Petroleum & Chemical) SHA.(600028)
중국 최강 석유기업, SINOPEC(China Petroleum & Chemical) SHA.(600028)
SINOPEC 기본정보
발행주수 : 7,328,813,500 시가총액(천 CNY) : 610,614,157
EPS : 0.48 PER : 12.68 BPS : 6.15 PBR : 1.04
주요 주주 - 시노펙 그룹 70.86%, 홍콩증권청산결제소 - 21.25%
SINOPEC 재무정보
- 단위 : 백만 CNY
내용 |
2014 |
2015 |
2016 |
2017 |
매출 |
2,827,566 |
2,020,375 |
1,930,911 |
2,360,193 |
영업이익 |
73,439 |
56,822 |
77,193 |
92,268 |
당기순이익 |
46,639 |
32,512 |
46,672 |
51,244 |
EPS |
0.50 |
0.32 |
0.44 |
0.50 |
자산총계 |
1,451,368 |
1,447,268 |
1,498,609 |
1,595,504 |
부채총계 |
805,791 |
659,107 |
667,374 |
742,614 |
자본총계 |
645,577 |
788,161 |
831,235 |
852,890 |
유동비율 |
59.60 |
72.09 |
84.91 |
91.30 |
부채비율 | 55.49 | 37.74 | 27.04 | 24.76 |
ROE | 8.03 | 5.12 | 6.73 | 7.13 |
DPS(HKD) | 0.29 | 0.24 | 0.16 | 0.3 |
SINOPEC 간략분석
석유화학 및 정유사업은 매력적인 비즈니스 중 하나다. 왜냐면, 어느 분야든지 석유 및 정유관련 비즈니스가 들어가지 않는 분야가 없으니 말이다. 미국이야 원유 사용량의 50%가 휘발유인 관계로 내연기관이 전기차로 전환되면서 큰 변화가 예상되지만, 다른 국가들 예컨대 한국같은 경우는 그 비중이 25%대로 장기간을 둔다면 충분히 커버가 가능한 수준이다.
당장에 일회용 컵과 비닐만 하더라도 모두 석유에서 추출된 것이니 말 다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그런만큼 규모의 경제로 크게 증축하고 설비를 늘리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글로벌로 보면, 엑손 모빌, 다우케미칼 등등 기업들이 있고, 한국에도 S-Oil, SK이노베이션 등등의 기업이 있다.
석유화학산업은 대표적인 시크리컬 산업으로 주가 역시 이 변동성에 따라서 움직인다. 또, 글로벌 기업들 분석결과 대체로 재무적인 결과가 동행하는 기록을 보이고 있다. 이는 석유 및 화학 완성제품이 그렇게 큰 품질 차이를 보이지 않고 또, 원재료인 석유가격에 의존하는 성격을 그대로 보여주기 때문으로 보인다.
여러모로 한국의 S-Oil과 SK이노베이션은 저유가 기조를 타고 주가역시 아웃퍼폼한 상태이지만, 근래의 유가의 상승 그리고 글로벌 기업들의 CAPA 증설에 따른 공급경쟁 과열은 여러모로 정유 및 석유화학 산업 투자에 어렵게 만든다. 규모가 일정규모 이상이며 현금 보유량이 풍족한 기업의 경우 배당 및 채권의 상환에서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이나 향후 주가의 상승은 성장 수요대비 공급의 문제에서 좀 복잡해지는 모습이 있다.
장기간 비교시 줄어든 유가 정제마진의 축소 그리고 중국 석유회사들의 가격 경쟁력 등을 고려시 더 나은 투자 대안들이 존재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