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 35세의 결혼 적령기 연령대의 남성들의 연애 비율이 급하게 떨어짐
+ 출산율도 급격하게 하락하기 시작함
초식남 시작 : 육식남의 반대말.
섬세한 남성을 뜻하는 의미였으나, 연애에 무관심한 남성을 뜻하는 말
한국에서는 연애를 못 하거나 하지 못 하는 남자의 의미.
< 일본에서는 단식남이라는 용어와 동일시.
> 전 세계적으로 저출산은 글로벌 트렌드.
** 한국의 젊은 남성들의 초식남 용어가 나올 정도로 급격하게 감소한 이유는 ?
> 못 하는것 이상으로 연애에 관심이 없는 남성의 비율이 증가하기 시작
> 상대적으로 진출하는 나이도 늦어지고, 자기 힘으로 집을 구하는 것이 어려워지면서 커지게 됨
**
> IMF 이후 개인주의와 자유주의의 사고관이 널리 퍼지게 됨에 따라 사회적인 인식은 급격하게 바뀌기 싲가함
저출산의 원인 :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문제. + 사회적인 문제의 분위기
1. 여성의 교육과 경제활동 참여 증가
2. 양육비 부담 확대 - 높아진 육아의 기준과 시선
3. 청년들의 행복도 문제 - (한국 20 ~ 30대 실업률 최대.)
4. 경제적인 부문 - 수도권의 높은 집값 + 높은 실업률. (지방에는 먹이가 없고, 서울에는 둥지가 없다.)
5. 결혼에 대한 문화적 인식
6. 성별 갈등 - 페미니즘 갈등
7. 가부장적인 문화 - 독박 육아
8. 한국은 출산율은 혼인율과 비례함. 서양은 혼외 출산율을 높이는 정책들이 있음
ex. 프랑스 > 다양한 종류의 가족 형태 탄생. 혼외 출산 장려.